2025년 스마트 제조혁신 지원사업 통합 공고
페이지 정보
작성자 최고관리자 댓글 0건 조회 609회 작성일 25-01-02 12:42본문
사업개요
제조혁신을 통한 중소·중견기업의 경쟁력 제고를 위해 「2025년 스마트 제조혁신 지원사업」을 다음과 같이 공고합니다.
지원자격 및 내용
ㅇ 신청자격 : 국내 중소·중견 기업
지원 내용
ㅇ 사업내용 : 중소·중견기업의 디지털 제조혁신을 촉진하기 위하여 스마트공장, 로봇 및 공정자동화, 수준 확인, 데이터 인프라 구축 등을 지원
세부 사업명 |
지원 과제수 |
지원 기간(개월) |
지원 한도(억) |
지원금 비중(%) |
지원내용 | |
스마트공장 구축 |
(1)정부일반형 | 345 | 9 | 2.0 | 50 |
- 정보통신기술(ICT)로 제품의 기획-설계-제조-판매 과정을 통합하여 제조 공정을 최적화하는 스마트공장 구축지원 - 제품설계·생산공정 개선 등을 위한 스마트공장 솔루션 구축 및 솔루션과 연동되는 자동화 장비·제어기·센서 등 구축지원 |
(2)자율형공장 | 20 | 24 | 6.0 |
- (기획지원) 기업별 공정분석 및 실행전략 등 자율형공장 구축 기획 등 - (구축지원) AI 및 디지털트윈을 적용하여 가상환경 기반 자율형공장 구축 등 |
||
(3)디지털협업공장 |
6개 컨소시엄 |
12 | 10.0 |
- (공동·협업 시스템 구축) 제품 개발·생산, 유통·물류 관리 등의 컨소시엄 간 연계 및 공동 활용이 가능한 스마트 시스템 구축 - (개별 스마트공장 구축) 제품설계·생산공정 개선 등 스마트공장 솔루션 구축 및 이와 연동되는 자동화장비·제어기·센서 등 구축지원 |
||
(4)탄소중립형 | 20 | 9 | 2.0 |
- (탄소저감 스마트공장 구축) FEMS 구축과 고효율 설비개체 도입을 통한 에너지 효율향상 지원 - (구축지도 컨설팅) 최종 선정기업 대상으로 전체 구축과정에 걸쳐 구축상황 코디네이팅, 변경사항 관리, 성과측정 등 전주기 지원 |
||
(5)대중소 상생형 | 250 | 9 | 1.2 | 30 |
- 주관기관이 중소·중견기업과 협력하여 스마트공장을 구축할 경우, 정부가 구축 비용의 30% 이내 지원 - 주관기관이 협업기관과 컨소시엄을 이루어 참여하며, 협업기관에 한해 중소·중견기업 모집·선정 등에 필요한 운영비 지원 * 매칭된 정부지원금의 5% 이내 협업기관 운영비로 책정 가능 |
|
(6)부처협업형 | 150 | 9 | 2.0 | 50 |
- (중기부) 스마트공장 구축지원 - (해당 부처) R&Dㆍ인증·판로·컨설팅 등 기업지원 서비스를 추가 지원 |
|
로봇 자동화 |
(7)제조로봇활용 | 100 | 8 | 2.5 | 50 | - 로봇 도입, 공정설계 컨설팅, 안전 검사 컨설팅 등 패키지 지원 |
(8)제조기반기업 | 75 | 8 | 0.95 | - 인력 의존도가 높은 공정을 대상으로 공정자동화 구축 지원 | ||
(9)스마트공장 수준확인 | 2,000 | - | 0.01 | 100 |
- (확인 기관) 참여기업 모집·선정·관리 등에 필요한 사업비·운영비 지원 - (교육·심의기관) 수준확인 관련 교육 프로그램 및 통합 심의위원회 운영에 필요한 사업비·운영비 지원 |
|
(10)클라우드형 종합솔루션 | 클라우드화 | 5 | 9 | 2.7 | 50 | - 중소 공급기업의 사업화 중인 구축형 제조솔루션을 클라우드형 제조솔루션(SaaS)으로 전환 및 도입기업 실증지원 |
종합솔루션화 | 1 | 12 | 8.3 |
- 사회·정책이슈* 대응이 가능한 다수의 클라우드형 제조 솔루션(SaaS)을 연계·통합 하는 종합솔루션 개발·실증 지원 * 탄소중립(CBAM, DPP), 중대재해 등의 국내외 사회 정책 이슈 등 |
||
(11)공급기업 역량진단 | 950 | - | 0.01 | 80 |
1. (자가 역량진단) 공급기업이 자사의 역량을 스스로 진단하고 수준을 제고할 수 있도록 자가 역량진단 기능 제공 2. (전문 역량진단) 자사의 역량에 대한 객관적인 진단을 원하는 기업은 전문 진단원을 배정하여 기본 진단과 심화 진단 수행 - (기본 역량진단) 공급기업 역량진단 모델 등을 기반으로 전문 진단원이 진단지표에 따라 진단 후 진단결과를 기업에 제공 - (심화 역량진단) 단계별 기본 진단 후 분야별 세부 진단 및 개선방향에 대한 컨설팅을 희망하는 기업에 제공 |
|
(12)제조DX 멘토단 활용지원 | 사전 기획 | 1,000 | 3 | 0.02 | 85~90 | - 스마트공장 구축지원사업에 참여 희망기업에 대한 스마트공장 도입 전략 수립 컨설팅 지원(8회) |
구축 지도 | 100 | 3 | 0.01 | 85 | - 선도형 스마트공장 선정기업 대상 구축지도(4회) | |
사후 관리 | 250 | 4 | 0.19 | 50 | - 부품수리·교체,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등 솔루션 활용률 제고를 위한 유지보수 지원 | |
(13)제조데이터 상품 가공지원 가공기업 Pool 모집 | 미정 | - | - | - | - 중소 제조기업 내 축적된 제조데이터를 활용하여 AI·빅데이터 분석용 제조데이터 가공 및 품질검증 등 상품화 지원 | |
(14)제조데이터 상품 가공지원 | 25 | 4 | 0.5 | 80 | - 중소 제조기업 내 축적된 제조데이터를 활용하여 AI·빅데이터 분석용 제조데이터 가공 및 품질검증 등을 통한 제조데이터 상품화 지원 |
* 지원 과제수는 정부(안) 기준이며, 향후 국회 등 심의 과정에서 변동될 수 있음
* 지원 기간·지원 한도·(정부)지원금 비중은 ‘최대’를 의미함
신청방법 및 서류
ㅇ 신청방법 : 스마트공장 사업관리 시스템(smart-factory.kr) 접속 → 회원가입 → 로그인 → 사업관리 → 과제신청 → 사업계획서 내용입력
* 일부 신청 방법이 변경될 수 있으므로 개별 사업공고를 반드시 참조
ㅇ 문 의 처
- 사업별 문의처 :
세부 사업명 | 중소벤처기업부 | 전문(운영) 기관 | 연락처 | |
스마트공장 구축 |
|
제조혁신과 |
스마트 제조혁신추진단 |
지역별 접수 및 문의처 참조 |
|
044-300-0956, 0960 | |||
|
044-300-0953~4 | |||
|
044-300-0956, 0960 | |||
|
044-300-0958 | |||
|
044-300-0959 | |||
로봇 자동화 |
|
한국로봇 산업진흥원 |
053-210-9622~7 | |
|
국가뿌리산업 진흥센터 |
02-2183-1624 | ||
|
스마트 제조혁신추진단 |
044-300-0955, 0960 | ||
|
044-300-0972 | |||
|
||||
|
(사전) 044-300-0974 (사후) 044-300-0959 |
|||
|
044-300-0941 | |||
|
- 지역별 접수 및 문의처(스마트제조혁신센터)
기 관 명 | 연 락 처 | 주 소 |
서울 | 02-944-6032, 6036 | 서울특별시 노원구 공릉로 232 |
부산 | 051-974-9155 | 부산광역시 강서구 과학산단 1로 60번길 31 |
대구 | 053-602-1812~3, 1864~5 | 대구광역시 달서구 성서공단로 46-17 |
경북 | 053-819-3055~9, 3046, 8156 | 경상북도 경산시 삼풍로 27 |
포항 | 054-223-2242 |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지곡로 394 |
광주 | 062-602-7218, 7211, 7214 | 광주광역시 북구 첨단과기로 333 |
전남 | 061-729-2583 | 전라남도 순천시 해룡면 율촌산단4로 13 |
제주 | 064-720-3039 |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중앙로 217 |
경기 | 031-500-3100 |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해안로 705 |
경기 북부* | 031-539-5140 | 경기도 포천시 자작로 155 |
인천 | 032-260-0621~4 | 인천광역시 연수구 갯벌로 12 |
대전 | 042-930-4351 | 대전광역시 유성구 테크노9로 35 |
충남 | 041-589-0715, 0719, 0705 | 충청남도 천안시 서북구 직산읍 136 |
세종 | 044-850-3821, 3823, 3826 | 세종특별자치시 조치원읍 군청로93 |
울산 |
댓글목록
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.